개인정보 유출 사건 발생 시 대응 방법
개인정보 유출 사건 발생 시 확인해 보실 수 있는 몇 가지 유용한 정보와 신고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불안한 마음이 드실 때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주요 확인 및 대응 방법
1. 마이데이터 포털 활용
마이데이터 포털은 금융 정보를 중심으로 본인의 정보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통합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직접적으로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는 아니지만, 본인의 금융 정보 이동 및 활용 내역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마이데이터 종합포털
- 공공 마이데이터 업무포털
정보 활용 내역에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면 관련 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명의도용 조회 (Msafer)
본인 명의로 개통되지 않은 휴대폰이나 통신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하고 싶으실 때 유용합니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에서 제공하는 Msafer 서비스를 통해 가입 사실 현황을 조회하고, 혹시 모를 명의 도용으로 인한 신규 가입을 사전에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
- Msafer (명의도용방지서비스) 홈페이지
- 이 서비스를 통해 본인 명의의 이동전화, 유선전화, 인터넷 등 통신 서비스 가입 현황을 일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타인에 의한 이동전화 신규가입 또는 명의변경을 제한하는 가입제한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가입 사실 현황 조회 시 본인이 모르는 통신 서비스가 있다면 명의도용을 의심하고 해당 통신사나 통신민원조정센터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3.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또는 KISA 개인정보침해 신고
개인정보가 유출되었거나 개인정보 처리자에 의해 권익을 침해당했다고 생각되시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지정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에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신고 방법:
- 전화: 국번 없이 118
- 온라인: KISA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웹사이트
- 팩스 또는 우편으로도 신고 가능합니다
신고가 접수되면 법규 위반 여부를 검토하여 고충 해결 및 시정 조치가 이루어지고 결과가 통보됩니다.
금융 정보(개인신용정보) 침해 신고는 금융위원회(☎1332)로 하시면 됩니다.
개인정보 유출은 큰 불안감을 줄 수 있습니다. 안내해 드린 정보들을 통해 상황을 확인하시고, 필요한 경우 주저하지 마시고 관련 기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